목록컴퓨터 IT/스마트폰 (161)
바람이 머문 언덕
스마트폰에는 통화 기록에서 부터 문자, 공인 인정서, 그리고 톡으로 주고 받은 내용, 사진 등등 각종 개인 정보들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이 중에는 타인에게 노출 되지 않았으면하는 정보들도 있죠. 그래서인지 게스트 모드를 지원하는 지문 인식 스마트 폰까지 나왔습니다. 그렇다고 잘 사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을 그 기능하나만으로 바꿀 수는 없고... 이를 때 이용하면 좋은 앱이 있는데 바로 앱 잠금 어플이 아닌가 합니다. 앱 잠금 어플은 말 그대로 타인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앱을 잠그는 것으로 많은 어플이 나와있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용해 본 앱들 중에는 앱의 실행을 중지하거나 아니면 제거해 버리면 아무런 제한 없이 앱을 이용 할 수 있어 앱 잠금 자체가 그렇게 의미가 없었어 필요성을 그렇게 느끼지 못했습니다...
스마트 폰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는 유저들이 많은데문제는 LCD의 크기가 작아 보니 눈의 피로를 많이 느끼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를 때 Web을 읽어 주면 TTS 앱을 이용하면 많이 편리합니다. 그래서 TTS Web을 찾는 유저들이 많을 것입니다. 오늘 소개 할 웹 읽어주는 남자(Web Reader, TTS Web)도 터치만 해주면 자동으로 글을 인식해 음성으로 출력해 주는 간단한 어플입니다. 사용법은 어플을 실행 후 별 모양 북마크를 통해 자주 이용하는 검색 엔진으로 이동 합니다.그리고 읽고자 하는 글을 터치해 주면 자동으로 인식해 음성으로 출력해 줍니다. 중간에 보이는스피커 모양은 읽는 것을 중지 시킬 때 사용하는 것이고 옆에 전원 모양 아이콘은 앱을 종료 할 때 사용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웹을 읽어..
스마프 폰이 고가이다 보니 한 번 분실하게 되면 찾기가 쉽지 않죠. 그런데 금전적 피해보다 더 문제가 되는 것이 스마트 폰에 저장되어 있는 개인 정보의 유출과 어플을 통해 개인적인 공간에 마음대로 접근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릴까요. 생각만해도 아찔한 이런 사태가 일어 났을 경우 이용 할 수 있는 서비스 중에 하나가 구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Android 기기 관리자 일 것입니다. Android 기기 관리자는 별도로 앱을 설치 할 필요는 없지만 몇 가지 설정을 해주어야지만 정상적으로 위치 확인과 데이터 초기화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그럼 그 방법을 알아 볼까요. 먼저 Android 스마트 폰 로그인 아이디와 기기 관리자 로그인 아이디가 같아야 합니다. 그리고 Android 기기 관리자에 처음 접속..
데이터를 많이 사용하다 보니 통신료를 아끼기 위해 무료 와이파이(무선 인터넷)를 많이 찾게 됩니다. 통신사 별로 무료 와이파이 존을 제공하고 있는데 LG U+는 유플러스 존이라고 부름니다. 유플러스 존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U+ ZONE 아이디와 비번이 있어야 하는데 요즘 가입한 유저들은 자동적으로 가입되어 아이디(가입한 스마트폰 번호@upluszone)와 비밀 번호(홈 페이지 로그인 비번) 을 부여 받게 됩니다. 비밀 번호를 잃어 버리면 기존 비밀 번호는 알 수가 없고 유플러스 존 홈 페이지에서 '비밀 번호 찾기'를 통해 새로운 비밀 번호를 부여 받아야 합니다. 유플러스 존은 U+zone과 FREE_U+zone 두가지가 있습니다. 유플러스에서 발급 받은 아이디와 비밀 번호를 U+zone이라고 표시되는 것..
등산을 갈 때 GPS 로그를 가지고 다니면 이동 거리를 기록하고 있는데 로그 기록용으로는 괜찮은데 모르는 길을 갈 때 지도를 보면서 자신의 위치를 파악해 갈길을 정하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것이 었습니다. 그래서 스마트폰용 앱을 이용해 그 것을 보완해 볼까하고 몇 개의 앱을 설치해 보았는데 그 중에 트랭글(Tranggle) GPS가 마음에 들어 가지고 산행을 해보았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트랭글 GPS의 로그 기록과 그리고 이동 거리, 소모 칼로리등 여러 가지 정보확인용과 모르는 산행 곳을 산행 할 때 다른 유저가 공유한 로그를 이용해 길안내를 받을 수 있고 친구들과 위치를 공유하기를 통해 만일의 사고가 일어 났을 때 도움을 기대할 수 있어 등산용 앱으로는 괜찮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
스마트폰으로 각기 다른 언어로 끝말잇기 게임을 하는 광고를 보고는 저런 기능만 있다면 외국인이 말을 걸어도 당항하지 않을 것인데라는 생각을 한적이 있습니다.. 그 기능하나만 보고 그 제품을 구입하기는 그렇고 그 광고가 나올 때마다 부르운 눈으로 보앗는데... 나중에 생각해 보니 특정 제품에만 있는 기능이 아니고 어플이 아닌가 해서 검색해 보앗습니다. 그렇더니 몇 개의 번역 앱이 나오는 군요. 번역 어들 중에서 눈에 익은 구글 번역 앱... 친숙한 앱이라 설치를 해보았는데 실시간 언어 해석 말고도 카메라로 인식한 텍스트를 번역해 주는 기능도 있고 생각보다 좋은 것 같아 사용 방법을 간단히 올려 봅니다. 먼저 구글 번역 어플을 구글 플레이에서 다운 받습니다. (바로 가기)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아래와 같이 번..
어디서 결려 오는지도 모르는 스팸 문자와 전화 참 많이도 옵니다. 무료로 스마트폰을 교체해 준다는 내용부터, 돈을 빌려 준다는 전화, 보험, 시용 카드 발급, 그리고 악성 코드를 유포해 개인 정보를 빼가는 문자 등증 종류도 다양하지만 지긋 지긋하다는 공통점있죠. 그렇다고 모르는 전화를 다 안받을 수도 없고... 이를 때 KT 자회사에서 만든 후후라는 앱을 이용하면 모르는 전화 번호가 어디서 걸려 온 것인가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 할 수 있어 소개합니다. 후후는 국내 2200만개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450만개 114DB의 상호, 업정, 주소 제공은 물런이고 30만개 이상의 국내외 스팸, 보이스피싱 등 악성 전화 번호 제공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후후를 통해 신고 접수되는 악성 전화 번호를 실시간으로 제공 한..
스마트 폰을 구입 할 때 특정 요금제를 일정 기간 사용하면 할인해 준다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이 때 할인 받는 금액은 특정 요금을 일정 기간 사용하면 얼마의 금액을 할인해 준다고 통신사에서 미리 정해 놓은 것이기 때문에 스마트 폰 구입 금액하고는 상관이 없는 금액이라는 것이죠. 스마트 폰을 구입 할 때 중요한 것은 할부 원가로 월 청구 금액이 차이가 남니다.. 할부 원가는 일정한 것이 아니고 구입 시기와 판매하는 곳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에 할부 원가를 꼭 확인해라는 말을 많이들 합니다. 그런데 문제는 할부 원가를 공개하는 곳도 있지만 월 청구 금액만 적은 곳도 많다는 것입니다. 월 청구 금액만 공개한 곳 중에는 스마트 폰 구입 가격을 더 낮게 보이기 위해 부가세와 할부 이자를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