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트위터 (14)
바람이 머문 언덕
트위터를 알게 된지도 벌서 2년 정도되어 간다. 처음 트위터를 시작 할 때는 트위터나 어떤 서비스인지 아는게 없어 그냥 글만 올리면 되는 줄알았었다. 그런데 어느 날 트위터에서 의사 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팔라우와 팔라워가 있어야 한다는 것을 알았다. 이제 팔라워 수가 13000명 정도 되어 간다. 트위터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 얼마되지 않는 지식이지만 도움이 될까해서 글을 적어 봄니다. 먼저 트위터에 가입 방법을 소개 할까합니다. 트위터는 (https://twitter.com/)에서 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 홈 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 여기에 이름, 이메일 주소, 그리고 비밀 번호를 입력합니다. 이 때 이름은 실제 이름을 적어도 대고 아니면 다른 유저들에게 표시하고 싶은 것으로 ..
트위터를 알게 된지도 1년 6개월이 다되어 간다. 트위터의 개방성이 마음에 들어 트위터를 시작 했었는데 채팅을 좋아하지 않다보니 트위터에 그림을 올리여면 다른 외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이제는 트위터에서 바로 그림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을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어떻게 동작하는지 보기위해 그림을 하나 올려 보았습니다. 그런데 그림 옆에 이미지는 링커로 표시 된다는 글이 보이네요. ^^; 그 말이 먼 뜻이지 궁금했는데 글을 작성하고 보니 기존에 외부 어플케이션을 사용해서 글을 올린 것처럼 그림은 표시가 되지 않고 링크가 펴시 되네요. ^^ 그 링크를 클릭하면 올린 글과 함께 그림이 표시되는데 트위터 홈 페이지에서도 그림을 올릴 수 있게 그림을 저장하는 서버를 추가 했나 봅니다. 그림 파..
요즘은 트위터가 아는 사람과 대화하는 수준을 넘어 이제는 상업적, 정치적 등의 홍보 수단으로도 많이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내 트위터에도 나를 팔라워한 이유가 멀까 싶은 팔아워가 몇 개 있죠. 이렇게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트위터이다 보니 자신과 관심사가 같은 유저와 친구가 되면 좋을 것입니다. 물론 트위터 홈페이지에서 검색을 통해 유저를 찾을 수도 있지만 홈페이지는 검색 된 트윗을 표시해 줄 뿐이라 관심사가 같은 유저를 찾는데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ㅡㅡ; 이를 때 트위터 트렌드를 분석하는 사이트를 이용하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많은 사이트 중 http://archivist.visitmix.com/이라는 사이트에서 여러 가지 통계 그래프를 함께 제공해 주어 트렌드를 분석하는데 많은 ..
플로우한 유저의 글이 최근 것 부터 표시되는 라인) 팔로우 즉 작성한 글을 타임라인 글을 친구 다른 사람이 적은 글을 들어주는 "Follow"라는 기능이 있는데 먼저 다른 사람의 글을 들어 주다 보면은 자신의 글을 듣는 사람이 생길 것입니다. 그럼 트위터에서 다른 사람이 올린 글을 들어 주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사람이 올린 글을 자신의 트위터 홈에서 구독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하는 방법은 들을 듣고자하는 유저의 아디만 알고 경우 "https://twitter.com/아디"를 이용해서 그 유저의 트위터 홈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이동 후 "Follow" 버턴을 클릭 해주면 그 다음부터는 유저가 트위터에 올린 글을 자신의 트위터에서 구독 할 수가 있습니다. 방문한 트위터의 ..
블로그에 올린 글을 트위터에 발행하는 것을 도와 주는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를 할까 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를 사용하면 글 발행 기능이 있어서 별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분들도 있을 것입나다. 그러나 티스도리에서 발행하는 글은 제목만 발행이 되는데 http://twitterfeed.com/에서 발행되는 글은 아래 사진처럼 내용의 일부분도 함게 발행이 되는 점과 반영이 되지 않고 정해 둔 시간에 글 수집을 한다는 차이 점이 있습니다. RSS 피드가 지원이 되는 블로그나 사이트의 글을 http://twitterfeed.com/을 이용하여 글을 발행하는 법을 간단히 살펴 보겟습니다. 사이트로 이동하면 로그인하는 페이지로 이동을 하게 아직 회원이 아니기 때문에 가입을 해야지만 하는데 가입은 Email이나 오픈 ..
구글 버즈에 글을 트위터에 올라 가도록 하기 위서는 면저 구글 버저의 RSS 피드 주소를 알아야 합니다. 구글 프로필 주소 http://www.google.com/profiles로 이동 이동해서 화편 상단의 내 프로필 바로 가기 링크를 이용해서 프로필로 이동한 다음 웹 브아우저 상단에 있는 피드에서 보기를 이용해서 피드 주소를 알아 냄니다. 예) http://buzz.googleapis.com/feeds/111686979346767XXXXXXX/public/posted 그 다음 피드 버너 http://feedburner.google.com/fb/a/myfeeds로 이동해서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 된 곳에 버즈의 피드 주소를 입력 한 다음 피드 버너에서 사용 할 피드 주소를 만들면 됨니다. 그 다음 아래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