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카카오톡 (9)
바람이 머문 언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jkl95/btrgBCEgw0d/k7Ht3WRgy7SzYSo46BOPkk/img.jpg)
문자보다 카카오톡으로 대화도 하고 정보를 주고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다 보니 휴대폰을 교체하면 대화의 연속성이 떨어져 불편할 경우가 있어 기존 카카오톡 채팅, 대화 내용을 백업했다가 복원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카카오톡 오른쪽 상단에 설정을 터치 후 전체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런 다음 빨간색으로 표시해 놓은 '채팅'을 터치합니다. 마지막으로 '대화 백업'을 터치하면 됩니다. 백업해 놓은 대화 내용은 14일 이내에 카카오 계정에 로그인하면 복원이 진행할 수 있다고 합니다. 새로운 폰에서도 카카오톡 대화 내용을 연속해서 이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63k6Z/btrfA1cO0hM/KHLaKe6FOWk3fxxZ7UdR3K/img.jpg)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출입 명부에 자신의 흔적을 남기는 것이 일상처럼 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요즘은 지정된 전화번호로 직접 전화를 걸어 출입 명부에 기록하는 곳도 있지만 QR코드를 이용하거나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곳이 대부분일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에게 발급된 QR체크인과 개인 안심번호를 미리 준비해 놓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카카오톡 QR체크인 설정과 개인 안심번호 확인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카카오톡이 휴대폰에 설치되어 있다면 아이콘이 보일 것입니다. 이것을 꾹 눌러 줍니다. 그럼 아래 그림처럼 팝업 창이 나타날 것입니다. 이젠 창이 작아 보이지 않는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위에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클릭합니다. (갤럭시 A31 기준) '위젯'이란 글자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webp.q85/?fname=https://blog.kakaocdn.net/dn/bn8tQw/btqAWcSvXuk/aHkosxptZfj8KDDPouZgUK/img.jpg)
이젠 스마트폰이 신체의 일부분처럼 거의 필수품이 된 것 같습니다. 그렇다 보니 어머니과 어머니 지인분들이 집에 놀러 오시면 한 번씩 스마트폰 사용 법에 대해 물어보곤 합니다. 그러면 처음 사용해 보는 스마트폰을 이리저리 만져 가면서 나름 사용법을 파악해 가르쳐 드려야 하는데 요즘 연세가 있는 분들도 유튜브는 기본이고 카카오톡으로 소식도 주고받고 정보도 교환하는 것은 기본이군요. 그렇다 보니 카카오톡 사용 법에 대해서도 물어볼 때가 있어 오늘은 간단한 기능이지만 처음 사용하는 분들을 위해 카카오톡 대화방에 친구 초대하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 볼까 합니다. 친구 리스트 중에서 대화를 원하는 친구를 터치하면 아래 그림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여기서 1:1 채팅을 터치하면 대화방이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
카카오뱅크가 출시되었다는 소식을 듣고는 계좌를 하나 만들어 놓았습니다.그렇지만 관심도 잠시 특별히 기존 은행에서 만든 인터넷 통장과 큰 차이점을 느끼지 못해 약간의 금액만 이체 시켜 놓고는 잊고 있었습니다. 그러다 이체 시켜 놓은 돈이 잘 있는지도 궁금하고 기억하고 있는 비밀 번호가 정확한지도 확인해 볼겸 오래만에 접속해 이것저것 살펴보다 작은 적금을 하나 들고 싶은 생각이 들어 알아 보았습니다. 카카오톡에는 정기예금과 자우적금자유적금이 있는데 이름만 다른지 금리는 비슷한 것 같고 자유적금이 정기 적금보다 더 혜택이 괜찮아 보여 가입해 보았습니다. 자유 적금도 일정 금액을 이체 시켜 놓으면 정기 적금과 같은 1년 짜리 적금 기준으로 연2.2%의 이자를 받는다고 하며 납입 기간도 매일,매주, 매월 주에서 ..
카카오톡을 이용해 대화하는 것보다는 음성을 들으면 직접 전화 통화하는 것을 선호합니다.그렇지만 언제가 부터 각종 알림 문자와 정보성 문자를 전달해 주는 친숙한 앱이 되어 버린 친숙한 앱이죠. 그리고 스마트폰에 전화 번호만 입력되어 있거나 아니면 같은 대화 방에 들어가도 쉽게 친구를 맫을 수 있는 편리함 때문에 사용하는 유저가 많가 많아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보니 스마트폰을 처음 구입해 드렸을 때는 사용법이 어렵다며 거부감을 표현하셨던 어머니도 이젠 카카오톡으로 친구분들과 대화도하고 사진과 동영상도 공유할 정도로 이젠 스마트폰에 필수 앱처럼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서로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대화는 해야지만 개인 정보는 공유할 정도가 아릴 때는 이런 편리함이 서로 대화하는데 방해가 되기도 ..
처음 카카오톡을 접했을 때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이런 서비스도 생겼구나 정도로 생각했습니다.그런데 처음에는 스마트폰 사용이 어렵다고 하시던 어머님께서도 카카오톡으로 동창과 친구들과 메세지를 주고 받을 정도로 많은 유저들을 확보하면서 다양한 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하는 것 같더니 이제는 인터넷 은행까지 만들었군요. 간편하게 돈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했는데 카카오뱅크가 생겼다는 소식을 듣고 가입해 보았습니다.카카오톡으로 그렇게 자주 대화를 하지 않지만 그래도 오랫동안 사용해 온 서비스라 카카오뱅크도 친숙하게 느껴집니다. 카카오톡 계정으로 시작했는데 별다른 가입 절차없이 카카오톡 이름과 사진을 가져와 바로 실행이 됩니다. 그렇지만 아직 통장을 계설하지 않아 카카오뱅크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그렇기..
전화 번호를 물어 오면 전화 번호부에서 찾아 카카오톡에 직접 전화 번호를 입력해 보내 주었었습니다. 이렇게 보내는 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어느 날 전화 번호를 몰라 물어 보았는데 카카오톡으로 보내어 준다고 해서 보았는는데 아래처럼 카카오톡 메세지에 연략처라는 것이 보입니다. 그것을 터치했더니 주소록에 받은 연략처 정보가 입력되어 나타납니다. 그 기능을 이용하면 받은 연략처가 주소록에 바로 저장할 수 있어 편리하군요. 그래서 연략처를 카카오톡으로 보내는 밥법을 찾아 보앗습니다. 먼저 연략처를 보낼여고 하는 카카오톡 친구와 대화 신청을 합니다. 그 다음 아래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을 터치해 줍니다. 그럼 아래와 같이 연략처와 지도 등을 보낼 수 있는 아이콘이가 나타납니다. 여기서 연략처 터..
보수적이라 그런지 신용 카드나 체크 카드를 카카오 페이에 등록해 간편하게 결제하는 방식은 별로 끌리지 않았지만 카카오 페이를 사용하는 카카오 친구라면 계좌 번호를 몰라도 돈을 이체할 수 있다는 것에는 관심이 있어 가입해 보았습니다. 카카오 톡 친구와 돈을 주고 받기 위해서는 먼저 뱅크머니(은행 계좌 등록)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뱅크머니도 제한이 있기는 하지만 결제도 가능하다고 하는군요. 친구와 더치 페이하고 돈을 이체하는 용도 말고도 급할 때는 결제할 수도 있겠군요. 뱅크머니를 발급 받기 위해 계좌를 등록할 은행을 선택해 줍니다. 은행에 따라 친구와 돈을 주고 받기와 온라인 결제가 가능한 간편형만 지원해 주는 곳과 매장 결제도 같이 지원해 주는 NFC형까지 지원해 주는 곳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에게..